홈
박일규 출마변
박일규 걸어온길
4대공약
3개년 계획
비전
공지사항
사진으로보는 박일규
>
4대 공약
나와함께 우리함께 박일규가 간다!!
1
힘있는 사회복지사!
1. 사회복지사 정치세력화 강화
총선, 지방선거 시 협회 추천 각 정당 비례대표 당선자 배출(임기 내)
사회복지사 정치아카데미 개설, 정치지망 사회복지사 발굴, 정치참여 동력 조성(취임 즉시)
2. 사회복지사의 랜드마크, 사회복지사회관 건립 추진
10년 중장기계획수립(임기내)
Seed Money10억 모금(임기 내)
3. 대외협력 강화
국회, 언론 등 대관 담당 대외협력관 배치(취임 즉시)
국가 재난 상황 응급대응 지원단 설치(상황 발생시)
4. 대국민, 대정부 홍보 강화
브리핑 룸 마련, 비상근 대변인 임명(취임 즉시)
미디어 홍보 강화(취임 즉시)
5. 전문성 강화
전공 현장실습제도 개선(임기 내)
사회복지사 2급 자격제도 개선(임기 내)
6. 사회복지사 국제활동 강화
국내외 NGO 연계 사회복지 전문 단원 파견 활성화 및 국제사회복지사 양성 프로그램 개발(임기 내)
국외 사회복지 현장 실습 인정 체계 마련(임기 내)
국외 사회복지사 연수 프로그램 확대(임기 내)
7. 특정영역 사회복지사 지원 강화
학교사회복지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의료사회복지사, 군사회복지사 등 지원 강화(취임 즉시)
장기요양 위원회, 공공복지 위원회, 독립활동사회복지사 위원회 등 특정영역 위원회 설치 다각화(취임 즉시)
2
공정한 노동현장!
1. 사회복지사 임금 체계 혁신
법인, 시설, 유형 무관 사회복지사 경력 100%인정 추진(임기 내)
시설장 및 종사자 동일 조건 65세 정년 적용(임기 내)
최고호봉 35호봉으로 연장(임기 내)
보건복지부 주관 ‘처우개선위원회’의 실효적 운영을 위한 ‘처우개선위원회현장 지원단’ 구성(취임 즉시)
2. 전국 공통 적용 사회복지시설 후생복지 강화
유급병가, 복지포인트, 장기근속수당, 자녀돌봄 휴가, 법정 연장근로수당, 특수지근무수당 등 후생복지 전국 공통 적용 추진(취임 즉시)
일·생활 균형에 대한 현황조사 및 지원 대책 마련(매년)
3. 소규모. 소외시설 노동 환경 개선
소규모, 지자체 사업 시설 등 소외시설 인력배치기준, 임금체계 강화(취임 즉시)
소규모, 지자체 사업 시설 등 대정부 활동 연대 강화(수시)
4. 비정규직 철폐
정부지원사업 정규직 의무 채용 법적 장치 추진(취임 즉시)
무분별한 비정규직 채용 억제를 위한 ‘정원 외 5% 추가 인력 확보제’ 도입 추진(임기 내)
5. 사회복지 전담공무원 인력 충원 및 안전성 확보
공공영역 사회복지 관련 업무 팀장 및 부서장 사회복지직 의무 배치제 추진(취임 즉시)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인력(전체 공무원 20% 목표) 충원 추진(임기 내)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안전성 확보를 위한 법령 강화 추진(임기 내)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전문교육 의무화 추진(임기 내)
사회복지행정연구회 연계, 전국 단위 정례적 민관협력 워크숍 개최(취임 즉시)
3
혁신하는 중앙협회!
1. 협회장 선거제도(투표권) 개선
선거권 및 피선거권 대폭 확대(임기 내)
2. 직접 민주주의 강화
중대 의사결정 온라인 투표 상설화(취임 즉시)
3. 보수교육 혁신
온라인 교육 강화(취임 즉시)
중장기 계획으로 사회복지사 교육원 설립(사회복지사회관 내) 추진(임기 내)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강의 평가, 강사 양성 등 관련 의무 규정 마련 추진(임기 내)
4. 회원의 민원응대 편의성 극대화
AI기반 쳇봇채팅, 자동안내 기능 도입(취임 즉시)
민원 업무 집중기간 특별 관리 체계 마련(취임 즉시)
5. 진성회원 확대
당해년도 회비 납부자 20만명 확보(임기 내)
취업시 사회복지사협회 회원 및 회비 납부자 우대 조건 명시 추진(취임 즉시)
6. 지방협회 사무국 안정화
진성회원 비례 최소인력배치기준(T.O)마련, 지방협회 사무국 인건비 지원 (임기 내)
7. 중앙협회 운영 혁신
년위원회 신설 운영, 청년 및 여성이사 할당 강화, 노동이사제 도입(취임 즉시)
4
행동하는 복지국가!
1. 복지국가위원회 확대 개편
지국가위원회를 확대 개편, 전국 조직으로 ‘복지국가 포럼’ 운영(취임 즉시)
2. 복지국가 연구 활동 강화
협회내 복지국가 연구소 개설(임기 내)
학계와 연계 복지국가학회 창립 주도(임기 내)
3. 사회복지정책대회 정례화
3년 주기, 1만명 규모의 사회복지정책대회 정례화(임기 내)